연주 현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주 현씨는 고려 시대 도령중랑장을 지낸 현담윤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현담윤은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하여 중앙 관직에 진출했으며, 그의 후손들이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관료, 독립운동가, 학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연주 현씨는 평안북도 녕변군을 본관으로 하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약 5만 6천 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주 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연주 현씨 | |
![]() | |
| 기본 정보 | |
| 성씨 | 연주 현씨 延州玄氏 |
| 나라 | 한국 |
| 관향 | 평안북도 녕변군 |
| 대종회 | 연주 현씨 대종회 |
| 시조 및 중시조 | |
| 시조 | 현담윤(玄覃胤) |
| 인물 | |
| 주요 인물 | 현덕수 현석문 현영운 현정경 현익철 현희운 현정건 현상윤 현정주 현송자 현진건 현제명 현석호 현경윤 현신규 현재덕 현승종 현영학 현봉학 현시학 현오봉 현영원 현소환 현경대 현홍주 현명관 현기영 현승일 현병철 현경자 현삼식 현재현 현정택 현영철 현오석 현인택 현영희 현정은 현용진 현기환 현애자 현경병 현택환 현준호 |
| 통계 정보 | |
| 년도 | 2015년 |
| 인구 | 56,047명 |
| 집성촌 | |
2. 역사
연주 현씨(延州 玄氏) 시조는 고려 의종 때 도령중랑장을 지낸 '''현담윤'''(玄覃胤)이다. 명종 때 조위총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문하시랑평장사에 오르고 연산군에 봉해졌다.[1]
현담윤은 본래 평안도 연주의 토착 세력이었고, 이를 계기로 중앙 관직에 진출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현씨 가문은 현담윤의 세 아들이 중앙 정부에 진출하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9세손 현석규(玄錫圭)는 1478년(성종 9년) 평안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고, 1480년 건주위(建州衛) 정벌에 공을 세워 우참찬(右參贊)에 올랐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고려 의종 때 도령중랑장을 지낸 '''현담윤'''(玄覃胤)이 연주 현씨의 시조이다. 현담윤은 고려 명종 때 조위총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문하시랑평장사에 오르고 연산군에 봉해졌다.[1]현담윤은 본래 평안도 연주의 토착 세력이었고, 이를 계기로 중앙 관직에 진출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현씨 가문은 현담윤의 세 아들이 중앙 정부에 진출하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장남 '''현덕수'''(玄德秀)는 1174년(명종 4) 조위총의 난 때 연주도령이었던 아버지와 함께 연주성을 지켜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내시지후가 되었고, 이후 안남도호부부사, 도관낭중, 병부낭중, 사재소경, 전중소감을 거쳐 병부상서에 이르렀다.[1]
차남 현이후(玄利厚)는 경상도안렴사를 지내고 광성군(廣城君)에 봉해졌다.
삼남 현덕유(玄德裕)는 1186년(명종 16) 문과에 급제한 후 이부와 예부의 시랑을 거쳐 서경유수로 나갔다. 이후 금자광록대부로 참지정사를 지낸 후 대사공에 이르러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졌다.
3. 본관
연주(延州)는 평안북도 녕변군의 옛 지명이다. 본래 고려 안삭군(安朔郡)이었으나, 970년(고려 광종 21년) 연주(延州)로 고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995년(고려 성종 14년)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가 공민왕 때 연산부(延山府)로 승격되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419년(세종 11) 무산(撫山)을 통합하여 녕변 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녕변군으로 개편되어 1896년 평안북도에 소속되었다.
4. 분관
현씨의 본관은 문헌에 106본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나, 모두 시랑공(侍郞公) 현담윤(玄覃胤)을 시조로 받드는 동조동근(同祖同根)의 자손들이 살았던 지명에 불과하다.[1] 1747년(영조 23) 정묘보(丁卯譜) 편찬 때 연주 현씨로 단일화되었고, 1982년 임술보(壬戌譜) 간행 때도 문중 합의에 따라 본관을 연주로 통일하였다.[1]
1930년 국세조사 당시 연주 현씨는 남한에 30%, 북한에 70% 정도로 분포하였으며, 주로 본향인 평안도 지방에 거주하였다.[1]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남한의 현씨는 88,824명이며, 그 중 연주 현씨가 56,047명(영변 현씨 198명, 연산 현씨 155명), 성주 현씨 15,995명, 창원 현씨 2,053명, 순천 현씨 1,358명이다.[1]
5. 대표적 인물
연주 현씨의 대표적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시대 | 인물 |
|---|---|
| 고려 | 현덕수 |
| 조선 | 현석문, 현일, 현찬봉 |
| 독립운동가 | 현정경, 현익철, 현천묵, 현상윤, 현정건 |
| 대한민국 | 현석호, 현신규, 현승종, 현평효, 현봉학, 현시학, 현영원, 현소환, 현경대, 현홍주, 현명관, 현승일, 현승훈, 현병철, 현경자, 현삼식, 현재현, 현오석, 현인택, 현정은, 현용진, 현기환, 현애자, 현경병, 현택환 |
5. 1. 고려
5. 2. 조선
- 현석문(1799년 ~ 1846년) : 기해박해 때 천주교 순교자이다.
- 현일(1807년 ~ 1876년) : 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만여(萬汝), 호는 교정(皎亭)이며, 연천군수를 지내고 중추원지사에 올랐다.
- 현찬봉(1861년 ~ 1918년) : 용인군수, 곤산군수를 지냈다.
5. 3. 독립운동가
- 현정경(1886년 ~ 1941년) : 대한통의부 법무위원장, 민족해방동맹 주석을 역임했다.[1]
- 현익철(1890년 ~ 1938년) : 대한민국 임시정부 위원을 지냈으며, 백범 김구와 회동 중 피격으로 순국했다.
- 현천묵 : 독립운동가
- 현상윤(1893년 ~ ?) : 3·1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했고,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
- 현정건(1893년 ~ 1932년) : 독립운동가
5. 4. 대한민국
- 현덕수(玄德秀, ? ~ 1215년) : 1174년(고려 명종 4년) 조위총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병부상서에 이르렀다. 기로소의 시초가 되는 기로회 9인 중 1인이다.
- 현석문(玄錫文, 1799년 ~ 1846년) : 기해박해 때 천주교 순교자이다.
- 현일(玄鎰, 1807년 ~ 1876년) : 조선의 문신. 자는 만여(萬汝), 호는 교정(皎亭). 연천군수를 지내고, 중추원지사(中樞院知事)에 올랐다.
- 현찬봉(玄燦鳳, 1861년 ~ 1918년) : 용인군수, 곤산군수를 지냈다.
- 현정경(玄正卿, 1886년 ~ 1941년) : 독립운동가. 대한통의부 법무위원장, 민족해방동맹 주석을 지냈다.
- 현익철(玄益哲, 1890년 ~ 1938년) :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위원, 백범 김구와 회동 중 피격으로 순국했다.
- 현천묵(玄天默) : 독립운동가이다.
- 현상윤(玄相允, 1893년 ~ ?) : 독립운동가. 3·1 운동의 주역.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냈다.
- 현정건(玄鼎健, 1893년 ~ 1932년) : 독립운동가이다.
- 현석호(玄錫虎, 1907년 ∼ 1988년) : 제3·5대 국회의원, 제9·11대 국방부 장관, 제23대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 현신규(玄信圭, 1911년 ~ 1986년) : 산림학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제2대 농촌진흥청장을 지냈다.
- 현승종(玄勝鍾, 1919년 2월 26일 ~ 2020년 5월 25일) : 제24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 현평효(玄平孝, 1920년 ~ ) : 제주대학교 초대 총장을 지냈다.
- 현봉학(玄鳳學, 1922년 ~ 2007년) : 뉴저지주립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6.25 당시 미군통역으로 참전하여 흥남 철수 때 피난민 탈출을 위해 미군 포니 대령을 설득했다.
- 현시학(玄時學, 1924년 ~ 1989년) : 대한민국 함대사령관, 해군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다.
- 현영원(玄永源, 1927년 ~ 2006년) : 현대상선 회장을 지냈다.
- 현소환(玄昭煥, 1937년 ~ 2018년) : 연합뉴스 사장, 방송콘텐츠진흥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 현경대(玄敬大, 1939년 ~ ) : 제11·12·14·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현홍주(玄鴻柱, 1940년 ~ ) : 검사, 제12대 국회의원, 제15대 법제처장, 제14대 미국 대사,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위원을 지냈다.
- 현명관(玄明官, 1941년 ~ ) : 삼성물산 회장, 한국마사회 회장을 지냈다.
- 현승일(玄勝一, 1942년 ~ ) : 제16대 국회의원, 제6대 국민대학교 총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를 지냈다.
- 현승훈(玄承勳, 1942년 ~ ) : 화승그룹 회장을 지냈다.
- 현병철(玄炳哲, 1944년 ~ ) : 한양대학교 법대 교수,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현경자(玄慶子, 1947년 ~ ) :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현삼식(玄三植, 1947년 ~ ) : 경기도 양주시장을 지냈다.
- 현재현(玄在賢, 1949년 ~ ) : 동양그룹 회장을 지냈다.
- 현오석(玄旿錫, 1950년 ~ ) : 제4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냈다.
- 현인택(玄仁澤, 1954년 ~ ) : 제35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 현정은(玄貞恩, 1955년 ~ ) : 현대그룹 회장을 지냈다.
- 현용진(玄勇鎭, 1955년 ~ ) : KAIST 교수이다.
- 현기환(玄伎煥, 1959년 ~ ) : 제18대 국회의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다.
- 현애자(玄愛子, 1962년 ~ ) :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현경병(玄鏡柄, 1962년 ~ ) :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현택환(玄澤煥, 1964년 ~ )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이다.
6. 항렬자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 | | | | | | | | | | | | | | | |
7. 과거 급제자
8. 인구
|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 1985년 | 11,969가구 | 48,156명 |
| 2000년 | 18,686가구 | 59,096명 |
| 2015년 | 56,047명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